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우주배경복사(CMB)와 우주의 흔적 – 빛이 처음 만들어진 순간 우주배경복사(CMB)와 우주의 흔적 – 빛이 처음 만들어진 순간“우주는 처음에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가장 오래된 단서가 바로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입니다. 우리는 지금도 그 흔적을 보고, 듣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MB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1. 우주배경복사(CMB)란 무엇인가요?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막 빛을 내기 시작했을 때의 흔적입니다. 대략 138억 년 전 빅뱅 이후 약 38만 년이 지나 우주가 식고, 광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었을 때 처음으로 퍼져나간 빛이 지금도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온도로 관측되며, 우주가 어디서든 같은 기.. 2025. 4. 25.
지구 밖 하늘을 가진 행성들 – 외계행성의 날씨는 어떨까? 지구 밖 하늘을 가진 행성들 – 외계행성의 날씨는 어떨까?‘지구 밖의 하늘’은 어떤 모습일까요? 푸른 하늘, 하얀 구름, 맑은 공기 대신, 2,000도 바람과 유황비, 유리폭풍이 몰아치는 행성도 있습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은 단순히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제는 그 행성의 대기, 기후, 날씨까지 관측할 수 있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임스웹이 관측한 대표 외계행성들의 ‘날씨 예보’를 소개합니다.1. HD 189733b – 유리 비가 내리는 파란 행성HD 189733b는 지구에서 약 63광년 떨어진 가스형 외계행성으로, 뜨거운 주피터(hot Jupiter)에 해당합니다. 이 행성의 대기에는 규산염 입자(silicate particles)가 떠 있으며, 강한 바람.. 2025. 4. 24.
이게 별이라고요? 늙은 별의 마지막 인사 – 남반구 고리성운 이게 별이라고요? 늙은 별의 마지막 인사 – 남반구 고리성운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포착한 천체 중, 가장 감성적인 사진 중 하나는 바로 남반구 고리성운(Southern Ring Nebula)입니다. 마치 꽃처럼 펼쳐진 형형색색의 가스층 안에는, 한 별의 마지막 순간이 담겨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아름답고도 슬픈 우주의 장면, 별의 죽음과 그 이후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1. 고리성운이란 무엇인가요?‘고리성운(Ring Nebula)’은 천문학에서 행성상 성운(Planetary Nebula)의 일종을 뜻합니다. 이는 행성과는 아무 관련이 없으며,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이 수명을 다할 때, 외피를 바깥으로 날려보내며 형성되는 구조입니다. 중앙에는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불.. 2025. 4. 24.
제임스웹의 다음 목표 – 예정된 관측 대상과 과학 임무 제임스웹의 다음 목표 – 예정된 관측 대상과 과학 임무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은 이미 수많은 경이로운 이미지를 우리에게 선사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끝이 아닙니다. 앞으로도 수년간 제임스웹은 인류가 아직 보지 못한 우주의 깊은 영역들을 탐험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임스웹이 향후 관측할 예정인 주요 대상들과, 이를 통해 과학자들이 어떤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1. 외계행성 대기 분석 – 생명의 흔적을 찾아서앞으로도 제임스웹은 수많은 외계행성의 대기를 분석할 계획입니다. 특히 TRAPPIST-1 행성계를 포함하여, 생명체 거주 가능성(Biosignature)을 가진 행성들의 대기 성분을 정밀 측정하게 됩니다.분석 대상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생명 지표가 포함됩니다:이산화탄소 (C.. 2025. 4. 24.
우주의 색을 해석하는 법 – 천체사진은 왜 그렇게 생겼을까? 우주의 색을 해석하는 법 – 천체사진은 왜 그렇게 생겼을까?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공개한 우주 사진들을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렇게 생각합니다. “왜 우주는 이렇게 아름답고 다채로운 색을 띠는 걸까?” 하지만 이 사진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보는 색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천체사진 속 색의 의미와, 과학자들이 우주의 정보를 어떻게 시각화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1. 제임스웹 사진은 ‘진짜 색’인가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니오입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적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하기 때문에, 우리가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가시광선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각 파장의 적외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색을 입히는'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생성합니.. 2025. 4. 24.
어둠 속에서 태어나는 별 – 우주의 암흑 구름과 별의 탄생 어둠 속에서 태어나는 별 – 우주의 암흑 구름과 별의 탄생별은 어디에서, 어떻게 태어날까요? 반짝이는 별빛 뒤에는 사실 보이지 않는 어둠이 있습니다. 바로 그 어둠 속, 암흑 구름(Dark Nebula)이라 불리는 공간이 별의 요람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우주의 암흑 구름 속 모습을 중심으로, 별의 탄생 과정과 그 과학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1. 암흑 구름이란 무엇인가요?암흑 구름은 별빛을 가릴 만큼 밀도 높은 차가운 성간 먼지와 분자 가스로 구성된 거대한 구름입니다. 빛을 거의 반사하거나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거의 검은 그림자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암흑 구름 속에서는 중력에 의해 가스와 먼지가 수축분자운(Molecular Cloud) 또.. 2025. 4. 23.